아리랑 뉴스와 CHAT GPT와 함께 매일 영어공부를 합니다. 개인적으로 공부하는 자료이니, 영어공부를 함께하실 분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본 영상과 스크립트의 저작권은 Arirang News에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목차
1. 아리랑뉴스 링크
가. 아리랑뉴스 들으면서 이해되는 내용 들리는대로 쓰기 x 3회
나. 5문장 반복듣기 및 받아쓰기
다. 반복듣기 스크립트 읽기(5회)
1. 아리랑뉴스 링크
https://www.arirang.com/news/view/?id=280723&lang=en
Arirang TV
Korea for the World, the World for Korea!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방송! As a global broadcast representing Korea, Arirang TV strives to promote the right understanding of Korea around the world and bring the global community closer through TV an
www.arirang.com
가. 들리는 대로 받아쓰기
1. Common secretary howard 론닉스 said his team would be ready to hand plant to the president by April 1st.
2. Although South Korea has singed free trade agreement with US and has limited on most tariffs 트러미스트? plant non-tariff barrier imposing reciprocal tariffs on south korea.
3. South korea post it 레큐트리 서펄스 with US last year
4. Trump has also significant potential tariff an automobiles with White house also seeking to negotiate the US chips science sect which could affect south korea's top two export to the US rasing concerns about for economic impact.
5. Despite feels of global economic slow down Trump is expected to continue his hard tariff policy
나. 한문장씩 반복듣기 및 받아쓰기
[CHAT GPT 프롬프트]
넌 이제부터 영어선생님이야. 아래문장을 해석해주고, 주요표현, 문법 정리해줘. On trade, I have decided for purposes of fairness that i will charge a reciprocal tariff, meaning whatever countires charge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 Common secretary howard 론닉스 said his team would be ready to hand plant to the president by April 1st.
=> Commerce secretary Howard Lutnick said his team would be ready to hand a plan to the president by April 1st.
해석
상무장관 하워드 루트닉은 그의 팀이 4월 1일까지 대통령에게 계획을 전달할 준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표현
- Commerce secretary – 상무장관
- Secretary는 미국 정부에서 장관을 의미함. (예: Secretary of State = 국무장관)
- Would be ready – 준비가 되어 있을 것이다
- 미래의 특정 시점에서 준비가 완료될 것임을 나타냄.
- Hand a plan to ~ – ~에게 계획을 전달하다
- "Hand"는 "전달하다"라는 의미로, 공식적인 문서나 계획을 건넬 때 사용됨.
- 비슷한 표현: Submit a plan to, Present a plan to
- By April 1st – 4월 1일까지
- By는 특정 날짜까지 어떤 일이 완료됨을 의미.
문법 정리
- Reported speech (간접 화법)
- 원래 문장은 아마도 다음과 같을 가능성이 높음:"My team will be ready to hand a plan to the president by April 1st."
- 이를 간접 화법으로 바꾸면서 시제를 한 단계 과거로 변경:"My team would be ready"
- 즉, 직접 인용의 **"will" → "would"**로 변환됨.
- Future perfect nuance (미래 완료 뉘앙스)
- Would be ready는 미래의 특정 시점까지 준비가 완료될 것이라는 의미를 가짐.
- "By April 1st"라는 표현과 결합하여, 4월 1일 전에 준비가 끝난 상태가 될 것임을 강조.
연습 문장
- 국방부 장관은 새로운 정책이 6월까지 발표될 것이라고 말했다.
→ The defense secretary said the new policy would be announced by June. - 회장은 다음 주까지 회사의 새 전략을 제시할 준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The chairman said his company would be ready to present a new strategy by next week. - 정부는 2030년까지 탄소 배출 감축 계획을 마련할 준비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The government announced it would be ready with a carbon reduction plan by 2030.
이해했어? 추가로 궁금한 점 있어? 😊
2. Although South Korea has singed free trade agreement with US and has limited on most tariffs 트러미스트? plant non-tariff barrier imposing reciprocal tariffs on south korea.
=> Although South Korea has signed a free trade agreement with the U.S. and has eliminated most tariffs, Trump's plan to consider non-tariff barriers could lead to him imposing reciprocal tariffs on South Korea.
해석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고 대부분의 관세를 철폐했지만, 트럼프의 비관세 장벽 고려 계획은 그가 한국에 대해 상호 관세를 부과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주요 표현
- Sign a free trade agreement (FTA) –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다
- Free trade agreement는 "자유무역협정(FTA)"을 의미함.
- Sign은 공식적인 계약이나 조약을 체결할 때 사용됨.
- Eliminate tariffs – 관세를 철폐하다
- Tariff는 "관세"를 뜻하며, eliminate는 "제거하다"라는 의미.
- 비슷한 표현: Remove tariffs, Abolish tariffs
- Non-tariff barriers – 비관세 장벽
- 관세 이외의 무역 장벽(예: 수입 규제, 복잡한 인증 절차 등)을 의미.
- 반대 개념: Tariff barriers (관세 장벽)
- Impose reciprocal tariffs – 상호 관세를 부과하다
- Impose는 세금이나 규제를 "부과하다"는 뜻.
- Reciprocal tariffs는 "상호 관세"를 의미하며, 특정 국가가 관세를 부과하면 상대국도 동일한 방식으로 대응하는 개념.
- 비슷한 표현: Retaliatory tariffs (보복 관세)
문법 정리
- Although 절 (양보절)
- Although South Korea has signed a free trade agreement with the U.S. and has eliminated most tariffs
- Although(비록 ~일지라도) 절에서는 **현재완료형 (has signed, has eliminated)**이 사용되어 과거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사실을 강조.
- 주절과 대조적인 내용을 전달하는 역할.
- Could lead to + 명사/동명사
- Could lead to him imposing reciprocal tariffs
- "lead to"는 "~을 초래하다"라는 뜻으로, 뒤에는 **명사 혹은 동명사(-ing형)**가 와야 함.
- 여기서 him imposing은 **"그가 부과하는 것"**이라는 의미로 동명사를 사용한 표현.
- 예문:
- The new policy could lead to higher prices. (새로운 정책이 가격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 His actions could lead to him losing his job. (그의 행동은 그가 직장을 잃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연습 문장
- 중국은 미국과 FTA를 체결하지 않았지만, 몇몇 관세를 철폐했다.
→ China has not signed an FTA with the U.S., but has eliminated some tariffs. - 미국의 새로운 정책이 비관세 장벽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 The new U.S. policy could lead to an increase in non-tariff barriers. - 유럽연합(EU)은 미국의 보복 관세 부과에 대응하여 상호 관세를 부과했다.
→ The EU imposed reciprocal tariffs in response to the U.S. retaliatory tariffs.
이해했어? 추가로 설명이 필요한 부분 있어? 😊
3. South korea post it 레큐트리 서펄스 with US last year
=> South korea posted a record trade surplus with the U.S. last year.
해석
한국은 작년에 미국과의 무역에서 사상 최대 흑자를 기록했다.
주요 표현
- Post a record (기록을 세우다)
- Post는 여기서 **"기록하다, 발표하다"**의 의미.
- A record trade surplus → "사상 최대의 무역 흑자"
- 비슷한 표현: Achieve a record, Set a record
- 예문:
- The company posted a record profit last quarter. (그 회사는 지난 분기에 사상 최대 이익을 기록했다.)
- Trade surplus (무역 흑자)
- 수출 > 수입일 때 발생하는 무역상의 흑자.
- 반대말: Trade deficit (무역 적자)
- With the U.S. (미국과의 무역에서)
- With는 **"~와의 거래에서"**라는 의미로, 특정 국가와의 무역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됨.
- 예문:
- Germany posted a trade surplus with China last year.
(독일은 작년에 중국과의 무역에서 흑자를 기록했다.)
- Germany posted a trade surplus with China last year.
- Last year (작년에)
- 특정 시점을 나타내므로 과거형 (posted) 사용.
문법 정리
- 과거형 사용 ("posted")
- Last year (작년)이라는 명확한 과거 시점이 나왔기 때문에 과거형(posted) 사용.
- 예문:
- South Korea posted a trade surplus in 2023. (한국은 2023년에 무역 흑자를 기록했다.)
- 명사 + with + 대상국가
- A record trade surplus with the U.S.
- "~와의 무역에서"를 나타낼 때 with 사용.
- 예문:
- Japan reported a trade deficit with the EU. (일본은 EU와의 무역에서 적자를 보고했다.)
연습 문장
- 일본은 작년에 한국과의 무역에서 흑자를 기록했다.
→ Japan posted a trade surplus with South Korea last year. - 미국은 중국과의 무역에서 사상 최대 적자를 기록했다.
→ The U.S. posted a record trade deficit with China. - 한국의 무역 흑자는 작년보다 20% 증가했다.
→ South Korea's trade surplus increased by 20% compared to last year.
이해됐어? 추가 설명이 필요해? 😊
4. Trump has also significant potential tariff an automobiles with White house also seeking to negotiate the US chips science sect which could affect south korea's top two export to the US rasing concerns about for economic impact.
=> Trump has also signaled potential tariffs on autombiles with the White House also seeking to renogotiate the U.S. CHIPS and science Act, which could affect South Korea's top two exports to the U.S., raising concerns about further economic impact.
해석
트럼프는 자동차에 대한 잠재적 관세를 시사했으며, 백악관 또한 미국 반도체 및 과학법(U.S. CHIPS and Science Act)의 재협상을 추진하고 있어, 이는 한국의 미국 수출 1, 2위 품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추가적인 경제적 영향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주요 표현
- Signal potential tariffs – 잠재적 관세를 시사하다
- Signal은 **"암시하다, 시사하다"**의 의미.
- Potential tariffs는 "잠재적인 관세", 즉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가능성이 있는 관세.
- 비슷한 표현: Indicate possible tariffs, Hint at new tariffs
- Seek to renegotiate – 재협상을 추진하다
- Seek to ~ → "~하려고 시도하다, 추진하다"
- Renegotiate → "재협상하다", 즉 기존 협정을 다시 논의하는 것.
- 예문:
- The government is seeking to renegotiate the trade agreement.
(정부는 무역 협정을 재협상하려고 한다.)
- The government is seeking to renegotiate the trade agreement.
- CHIPS and Science Act – 미국 반도체 및 과학법
- 미국 내 반도체 생산과 연구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법안.
- 한국의 반도체 수출과 관련이 깊음.
- South Korea's top two exports – 한국의 미국 수출 1, 2위 품목
- Top two exports →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수출품", 여기서는 반도체와 자동차를 의미할 가능성이 큼.
- Raise concerns about – ~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다
- Raise concerns about → "~에 대한 걱정을 야기하다"
- 예문:
- The new policy raises concerns about economic stability.
(새로운 정책은 경제적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킨다.)
- The new policy raises concerns about economic stability.
- Further economic impact – 추가적인 경제적 영향
- Further는 **"추가적인, 더욱 심화된"**이라는 의미로, 기존 경제적 충격에 더해 추가적인 영향을 의미.
문법 정리
- 동사 병렬 구조 ("with the White House also seeking…")
- 문장에서 **"Trump has also signaled…"**와 **"the White House also seeking…"**은 병렬 구조.
- 즉,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백악관의 CHIPS 법안 재협상 추진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냄.
- "with + 명사 + 현재분사" → 부대 상황을 설명하는 구조.
- 예문:
- With inflation rising, many people are struggling financially.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 With inflation rising, many people are struggling financially.
- Which could affect ~, raising concerns (관계대명사 & 분사구문)
- Which could affect South Korea’s top two exports to the U.S. → 관계대명사절로 앞 문장을 수식.
- Raising concerns about further economic impact → 분사구문으로 원래 문장은
- "and this is raising concerns about further economic impact."
- And this is가 생략되어 분사구문으로 변형됨.
연습 문장
- 미국은 철강 제품에 대한 잠재적 관세를 시사했다.
→ The U.S. has signaled potential tariffs on steel products. - 정부는 반도체 산업 지원법을 재협상하려고 한다.
→ The government seeks to renegotiate the semiconductor industry support act. - 새로운 정책이 무역 적자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 The new policy raises concerns about the trade deficit.
이해됐어? 추가 설명 필요해? 😊
5. Despite feels of global economic slow down Trump is expected to continue his hard tariff policy
=> Despite fears of a global economic slowdown, Trump is expected to continue his hardline tariff policy.
해석
전 세계적인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트럼프는 강경한 관세 정책을 계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표현
- Despite fears of ~ – ~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 Despite는 **"~에도 불구하고"**라는 의미로, 뒤에 **명사(구)**가 옴.
- 비슷한 표현: In spite of fears of ~
- 예문:
- Despite fears of inflation, the government kept interest rates low.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금리를 낮게 유지했다.)
- Despite fears of inflation, the government kept interest rates low.
- A global economic slowdown – 세계 경제 둔화
- Slowdown은 경제 성장 둔화를 의미.
- 비슷한 표현: Economic recession (경제 침체), Economic downturn (경기 하락)
- Trump is expected to ~ – 트럼프는 ~할 것으로 예상된다
- Be expected to ~ → "~할 것으로 예상되다"
- 수동태 표현으로, 사람들이 기대하는 것을 전달하는 데 사용됨.
- 예문:
- The company is expected to release a new product next year.
(그 회사는 내년에 신제품을 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 The company is expected to release a new product next year.
- Continue his hardline tariff policy – 그의 강경한 관세 정책을 지속하다
- Continue는 "계속하다",
- Hardline tariff policy는 **"강경한 관세 정책"**을 의미함.
- Hardline은 강경한, 강경 노선을 고수하는이라는 뜻.
- 비슷한 표현: Strict tariff policy, Protectionist tariff policy
문법 정리
- Despite + 명사(구)
- Despite는 전치사이므로 뒤에 명사 또는 동명사가 와야 함.
- 예문:
- Despite the risks, he invested in the stock market.
(위험에도 불구하고 그는 주식 시장에 투자했다.)
- Despite the risks, he invested in the stock market.
- Be expected to + 동사원형
- 미래의 예상되는 행동을 표현할 때 사용.
- 예문:
- She is expected to win the competition.
(그녀는 대회에서 우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 She is expected to win the competition.
연습 문장
-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대규모 투자를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 Despite fears of an economic recession, the government is expected to continue large-scale investments. - 트럼프는 무역 보호주의 정책을 계속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Trump is expected to maintain his protectionist trade policy. - 기후 변화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많은 국가들은 여전히 탄소 배출을 줄이지 않고 있다.
→ Despite concerns about climate change, many countries are still not reducing carbon emissions.
이해됐어? 추가 설명이 필요해? 😊
다. 반복듣기 스크립트 읽기(5회)
Commerce Secretary Howard Lutnick said his team would be ready to hand a plan to the president by April 1st. Although South Korea has signed a free trade agreement with the U.S. and has eliminated most tariffs, Trump's plan to consider non-tariff barriers could lead to him imposing reciprocal tariffs on South Korea. South Korea posted a record trade surplus with the U.S. last year. Trump has also signaled potential tariffs on automobiles with the White House also seeking to renegotiate the U.S. CHIPS and Science Act, which could affect South Korea's top two exports to the U.S., raising concerns about further economic impact. Despite fears of a global economic slowdown, Trump is expected to continue his hardline tariff policy.
12345
01:20